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제사 상차림 차리는 방법

by 가득정보 2024. 12. 12.

기제사는 조상의 넋을 기리는 전통 의식으로, 한국 고유의 중요한 가정 행사 중 하나입니다. 조상에 대한 감사와 추모의 마음을 담아 음식을 차리고 정성스럽게 상을 준비하는 과정은 가족의 화합과 유대 강화의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기제사 상차림은 전통적인 규칙과 예법을 따르며, 음식 배치, 제수용품 준비, 예절 등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하지만 복잡해 보이더라도 주요 원칙과 차림법을 알면 누구나 정성스러운 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기제사 상차림 준비부터 음식 배치, 주요 상차림 예절과 금기사항까지 상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제사 상차림 차리는 방법
기제사 상차림 차리는 방법

[목차여기]

기제사 상차림 차리는 방법 총정리

1. 기제사 상차림의 기본 원칙

기제사 상차림은 전통적인 원칙과 규칙적인 음식 배치를 따릅니다. 상차림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신위’ 위치 정하기

  • 신위(神位): 제사상 중앙 윗부분에 위치
  • 위패/사진: 상 가운데 위쪽으로 배치

② ‘조율이시(棗栗梨柿)’ 원칙

  • **대추(棗), 밤(栗), 배(梨), 감(柿)**은 반드시 올립니다.
  • 과일은 홀수 개수로 놓으며, 보기 좋게 배열합니다.

③ ‘어동육서(魚東肉西)’ 원칙

  • 생선(어류): 상의 동쪽 (오른쪽에서 봤을 때 왼쪽)
  • 고기(육류): 상의 서쪽 (오른쪽)

④ ‘좌포우혜(左脯右醢)’ 원칙

  • 포(건조한 육포): 신위에서 보았을 때 왼쪽(좌)
  • 혜(젓갈류): 오른쪽(우)

⑤ ‘반서갱동(飯西羹東)’ 원칙

  • 밥: 상의 서쪽 (오른쪽)
  • 국: 상의 동쪽 (왼쪽)

2. 기제사 상차림 필수 음식 준비

기제사 상에는 5열 기본 상차림이 전통적이지만, 가족의 형편과 여건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필수 제수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열: 메(밥), 갱(국), 탕류

  • 밥: 신위 앞에 공기 하나
  • 국: 소고기 무국, 곰탕 등
  • 탕류(3가지): 소고기, 생선, 두부탕

2열: 전/적류(부침/구이류)

  • 육전: 소고기 부침개
  • 생선전: 동태전, 조기전
  • 두부전: 두부 부침개

3열: 나물과 반찬류

  • 나물: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3색 나물
  • 김치: 배추김치(익은 것)
  • 탕평채: 전통적 반찬 추가 가능

4열: 생선과 고기류

  • 생선구이: 굽거나 찐 생선 (조기, 도미 등)
  • 고기산적: 소고기 꼬치구이

5열: 과일과 한과

  • 과일: 대추, 밤, 배, 감 등
  • 한과: 유과, 강정 등

팁:

  • 마늘, 붉은 고추, 후추 등 자극적인 재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향이 강한 음식이나 냄새가 강한 반찬도 피하세요.

3. 기제사 상차림 배치법

기제사 상차림은 전통 배치법을 따르며, 신위 기준으로 오른쪽-왼쪽, 앞뒤 대칭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상차림 순서 및 배치법

  1. 상 중앙(신위): 신위 또는 영정사진 배치
  2. 신위 앞줄(밥, 국): 밥(서쪽), 국(동쪽)
  3. 양옆(좌포우혜): 왼쪽에 육포, 오른쪽에 젓갈
  4. 생선과 고기류: 생선(동쪽), 고기(서쪽)
  5. 나물과 부침류: 중앙 뒤쪽
  6. 과일과 한과: 상단부 정렬

4. 기제사 상차림 예절과 주의사항

기제사 상차림 시 주의해야 할 예절과 금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차림 예절

  • 정갈함 유지: 상차림은 깨끗하고 정돈된 상태로 준비합니다.
  • 음식 크기 통일: 음식 크기와 배치를 균형 잡히게 정리합니다.
  • 성의 표현: 정성과 진심이 중요하므로 간소하더라도 최대한 정성껏 준비합니다.

금기사항

  • 가공식품 피하기: 통조림이나 인스턴트 식품은 금지
  • 향신료 사용 자제: 마늘, 고추 등 자극적 재료는 제외
  • 미리 먹지 않기: 제사 음식은 차리기 전에 절대 먹지 않기
  • 음식 부족 방지: 부족하지 않도록 여유 있게 준비

자주 묻는 질문 ( FAQ )

Q1. 기제사 상차림에 꼭 필요한 음식은 무엇인가요?
A: 기본적으로 밥, 국, 탕류, 고기, 생선, 나물, 과일 등 5열 기준 음식이 필수입니다.

 

Q2. 상차림을 간소화할 수 있나요?
A: 전통은 중요하지만 가족 사정에 따라 일부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Q3. 제사 음식은 미리 먹어도 되나요?
A: 제사 전에는 절대 먹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Q4. 상차림 준비는 언제 시작하나요?
A: 제사 하루 전부터 재료 손질과 전 부치기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제사 상차림은 단순한 음식 준비가 아니라 조상을 기리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전통 의식입니다. 기본 원칙과 배치법, 주요 상차림 예절만 잘 따르면 누구나 정성스러운 기제사 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음식의 개수와 상차림 순서는 가족의 여건과 전통에 맞게 조절하되, 조상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기제사 상차림 차리는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